윤당선자의 공약 중에 많은 청년들이 관심을 갖는 것중의 하나는
1억통장 ,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소득제한이 없기에 청년희망통장에서 누락되었던 사람들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정부지원금을 포함하여 월 70만원씩 적금하면 10년뒤 1억을 주는 통장인데요
물론 청년도약계좌의 지원금액은 각 소득구간별로 다릅니다.
그런데 정말 꾸준히 근로자가 10년간 납입이 가능할까요?
연 2,400만원의 근로자가 10년간 저 금액 납입이 가능할 지 확인해보겠습니다.
(편의상 근로자를 기준으로 계산)
연 소득조건 | 세후월급* | 매월 저축필요금액 | 저축 후 가처분소득 |
2,400만원인 경우 | 1,805,870원 이하 | 300,000원 | 약 150만원 |
2,400만원~ 3,600만원 | 1,805,870원 초과 ~ 2,649,080원 이하 | 500,000원 | 약 130만원~214만원 |
3,600만원~4,600만원 | 2,649,080원 초과 ~3,302,973이하 | 600,000원 | 약 206만원~270만원 |
4,600만원 초과 | 3,302,973 초과 | 700,000원 | 약 260만원 초과 |
*네이버 세후월급계산기 사용(2022년기준)
아무래도 10년간 돈이 묶여있고,
실제 저축 후 가처분소득을 보면 10년간 지속하여 납입하는것이 녹록치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4,600만원을 초과하는 사람의 경우 정부에서 받는 혜택이란 비과세혜택밖에 없기에...
내가 이걸 받으려고 가입할 필요가 있나라는 생각도 들 수 있습니다.
즉 만약 너무너무 흙수저라면 이 저축통장을 10년간 끌고가기엔 무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좋은 혜택이지만 말이죠)
그러나 엄빠찬스를 어느정도 활용할 수 있는 직장인이라면 이런경우가 가능하지 않을까요?
- 직장인 A / 연봉 5,000만원
- 직장인 A 명의로 청년도약계좌 개설
- 매월 엄빠찬스로 70만원씩 계좌를 10년간 납입
- 10년뒤....직장인A는 1억원이 찍힌 통장을 수령하게됩니다.(이자소득 비과세)
이게 왜 증여세와 연관이 되냐면
증여재산 공제한도는 10년간 5천만원입니다.
그러나, A의 경우 이미 본인이 일을 하고 있고
사실 적금의 경우 어떤 원천으로 적금을 납입했는지 따로 조사를 하진 않기에(금액이 큰 자산가라면 모를까)
사실상 증여세도 내지 않은채 고스란히 1억원을 그것도 세금 한푼도 내지않고(왜? 이자소득도 비과세니까)
받는 케이스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심지어 증여재산 공제한도는 여전히 5천만원이 남아있는 것이죠.
즉 아래와 같이 동일하게 근로자 A가 받은 돈이 1억 5천만원일 경우
일반적인 경우라면 증여세 1천만원을 내야합니다.
구 분 | 일반적인경우 | 청년도약계좌를 꼼수로 이용한 경우 |
현금 증여액 | 150,000,000원 | 150,000,000원 |
증여세 | 10,000,000원 | 0원 |
그러나 청년도약계좌를 증여세절세용으로 꼼수로 이용해서
10년간 1억원을 근로자A에게 적금명목으로 주고, 오천만원을 추가로 증여한다면
증여세는 1원도 발생하지 않겠죠
물론 이게 합법적이라는 것은 아닙니다!!
이럴 수 있지 않을까라는 우려에서 작성해보았습니다.
※ 같이 읽어보면 좋은 글
청년도약계좌 소개 & 희망통장과 혜택 비교 (소득구간별 계산 등)
https://blog.naver.com/kitty3915/222673420549
청년도약계좌, 청년 1억 통장이란?(feat.증여세 절세??)
안녕하세요 회계쟁이제리입니다. 오늘은 하도 여기저기에서 말이 많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볼까합니...
blog.naver.com
'제리의 세금이야기 > 7.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N잡러를 위한 글_회사에서 내가 부업하는 것을 아는 방법은?(1) (2) | 2022.08.09 |
---|---|
수입은 줄었는데 건보료는 올랐다면?(건보료 조정신청_지역가입자) (0) | 2022.04.28 |
우선지원대상기업 관련 A to Z(대상기업여부,신청방법, 혜택총정리 등) (0) | 2022.04.24 |
연말정산 환급금 근로자가 직접 신청하는 방법은?(부도/폐업/임금체불기업) (0) | 2022.03.08 |
2022년 내 세후월급은 2021년에 비해 얼마나 줄었을까? (0) | 2022.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