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리의 세금이야기140

간이과세자 납부의무 면제 기준점 계산방법(환산) 간이과세자는 납부의무 면제기준이 공급대가(매출액을 포함한 금액)의 4,800만원 미만입니다. 즉, 4,800만원 미만의 간이과세자는 부가가치세 납부의무가 없습니다. 만약에 아래와 같은 경우라면 납부의무면제대상인지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2023년 7월 1일 ~ 2023년 12월 31일까지의 공급대가 : 3천만원 이 경우 간이과세자는 납부의무 면제대상일까요? 위의 경우 실제로 공급대가 합계액은 3천만원으로 4,800만원 미만이라는 기준은 충족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납부의무 면제대상인지를 따질 때에는 연간 금액으로 환산을 하는데요. 3천만원/6개월 = 6천만원 으로 12개월치로 환산한 공급대가 합계액이 6천만원으로 보아 납부의무를 면제하지 않습니다. 제69조(간이과세자에 대한 납부의무의 면제) ① 간이.. 2023. 10. 22.
부가가치세는 무엇인가?(매출세액과 매입세액) 안녕하세요 회계쟁이제리입니다. 오늘부터는 신입에게 부가가치세에 대한 기초를 알려준다는 생각으로 부가가치세와 관련된 글을 시리즈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제로 곧 알려줄 예정인데, 저도 찬찬히 정리해보면 좋을 것 같더라구요 ㅎㅎ 부가가치세는 무엇인가? 부가세는 사실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세금입니다. 음식값에 부가세 10%가 포함되어 있다는 문구라던가, 물품을 구매할 때 견적서에 부가세 포함 또는 부가세 별도라는 용어를 통해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부가세 별도인지 모르고 나중에 금액이 다르다면서 우기면 안됩니다) 대부분 물건값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은 부가세의 세금은 소비자가 부담하지만, 부가세를 실제로 국세청에 납부하는 주체는 사업자입니다. 간단히 숫자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부.. 2023. 10. 22.
[공익법인] 감사인 지정을 위한 기초자료 작성(방법 및 양식) 안녕하세요 회계쟁이제리입니다. 2024년 지정대상 공익법인의 경우 9월 14일까지 '주기적 감사인 지정 기초자료'를 국세청에 제출해야 합니다. 공익법인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란? 쉽게 말하자면 일정이상의 규모가 되는 공익법인(총자산 1,000억원 이상 대상)의 경우 너희는 자산규모가 크니, 감시가 필요하니 감사인을 니네 맘대로 선임하지 말고 국세청에서 지정해주는 감사인에게 결산감사를 맡게 하라는 제도입니다. 공익법인 주기적 감사인 지정기초자료 제출의무란? 감사인 지정을 위해서 공익법인의 기본적인 사항을 과세당국에서 파악하고 있어야겠죠? 따라서, 매 사업연도가 시작된 후 9개월째 되는 달의 초일부터 2주 이내에 감사인 지정에 필요한 자료를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하여 제출하도록 하고 있는 것입니다. 공익법인 .. 2023. 9. 6.
노조가 회계공시해야 연말정산때 조합비 세액공제 가능(10월부터) 안녕하세요 회계쟁이제리입니다. 오늘은 노동조합회계공시와 연말정산 기부금공제와 관련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곧 개정이 될 내용이라;; 얼른 다뤄봤습니다) 노동조합 회계공시 안한경우, 기부금세액공제 10월부터 못받는다? 앞으로는 노동조합이 회계공시를 하지 않은 경우, 조합원이 노동조합에 낸 노조비를 연말정산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도록 하는 소득세법 시행령이 개정안이 10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노조회비 기부금세액공제 원래 얼마나 받았나?(연말정산) 보통의 경우 매월 월급에서 노동조합비용이 일괄적으로 공제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일괄적으로 공제되는 노동조합비용은 연말정산할 때에 '지정기부금'에 해당하여 약 15%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았었습니다. (1천만원 초과분의 경우 30%) 노동.. 2023. 9. 6.
반응형